minIO 란? - AWS의 S3 SDK 와 호환되는 오픈소스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버. docker 설치 및 구동 # yum install docker # systemctl start docker Docker로 minIO설치 docker run \ -p 9000:9000 \ -p 9001:9001 \ --name nas-s3 \ -e "MINIO_ROOT_USER=admin" \ -e "MINIO_ROOT_PASSWORD=admin123" \ -v /home/nas_data:/container/vol \ minio/minio gateway nas /container/vol --console-address ":9001" permissiion 에러로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뜨지 않음 디렉터리 퍼미션 문제는 없..
virtualbox를 통해 centos7 설치 후 yum으로 docker 설치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 출력. 네트워크 설정 확인 - 네트워크가 원인인 것으로 추정, IP 할당이 되어 있지 않음. - ip 할당 및 확인 - 168.126.63.1 ping 확인 - docker 설치 완료
VG를 삭제하려고 하는데 찾을 수 없는 PV들이 있어서 정상적으로 삭제가 되지 않음 [root@db-1 dev]# vgremove vg_1 WARNING: Device for PV ADmbXc-e6Oj-NQDc-Qbz5-B0iJ-NKwY-meu6j9 not found or rejected by a filter. WARNING: Device for PV 2eN2R7-ppIp-BdKd-uM6Q-wgg1-tPkm-km0ytz not found or rejected by a filter. WARNING: Device for PV 0gAe8I-b56v-F8xG-49D6-e7fU-tUEL-cnZpe3 not found or rejected by a filter. WARNING: Device for PV yJn4Sj..
콘솔에서 EBS 볼륨 생성 후 EC2 인스터스에 연결 EC2 서비스에서 왼쪽 메뉴의 Elastic Block Store -> 볼륨을 눌러주세요 상단에 "볼륨 생성"을 눌러주세요 볼륨 유형을 선택해 주시고 크기와 가용영역을 선택해 주시고 생성을 하시면 됩니다. 볼륨 유형은 볼륨의 성능을 결정합니다. 유형을 특성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://docs.aws.amazon.com/AWSEC2/latest/UserGuide/ebs-volume-types.html?icmpid=docs_ec2_console 선택한 볼륨을 체크한 상태에서 상단의 작업 -> 볼륨 연결을 눌러주세요 볼륨을 연결할 인스턴스(서버)를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선택 후 우측 하단의 연결을 눌러줍니다. 서버에서 EBS 볼륨 인..
증상 조치 vi /etc/sshd/sshd_config - PasswordAuthentication no 주석처리 - PasswordAuthentication yes 추가 # To disable tunneled clear text passwords, change to no here! #PasswordAuthentication yes #PermitEmptyPasswords no #PasswordAuthentication no PasswordAuthentication yes sshd 서비스 재구동 # systemctl restart sshd
모든 http로 접속에 대해 https로 리다이렉트하기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%{HTTPS} off RewriteRule ^(.*)$ https://%{HTTP_HOST}$1 [R,L] /test 들어오는 요청에 대해 https로 리다이렉트하기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%{HTTPS} off RewriteRule ^/test(.*) https://%{HTTP_HOST}%{REQUEST_URI} [R,L] Test Site https://htaccess.madewithlove.be/
import argparse # 인스턴스 생성 parser = argparse.ArgumentParser(description='sample') # 입력 받을 인자값 등록 parser.add_argument('--service', dest='service', help='원하는 서비스를 입력하시오.[Web/App/DB]', required=True) parser.add_argument('--type', dest='type', help='원하는 환경을 입력하시오[알파/베타/리얼]', required=True) # 인자값을 args에 저장 args = parser.parse_args() # 출력 print('args.service:', args.service) print('args.type:', args.ty..
ulimit 설정 값 확인 - 현재 0으로 설정되어있음. [root@test-1 ~]# ulimit -a core file size (blocks, -c) 0 data seg size (kbytes, -d) unlimited scheduling priority (-e) 0 file size (blocks, -f) unlimited pending signals (-i) 3871 max locked memory (kbytes, -l) 64 max memory size (kbytes, -m) unlimited open files (-n) 1024 pipe size (512 bytes, -p) 8 POSIX message queues (bytes, -q) 819200 real-time priority (-r) ..
아래 명령어로 THP 비활성화 설정을 할 수 있음. echo never > /sys/kernel/mm/transparent_hugepage/enabled - 적용전 [root@test-1 ~] cat /sys/kernel/mm/transparent_hugepage/enabled [always] madvise never - 적용후 [root@test-1 ~] cat /sys/kernel/mm/transparent_hugepage/enabled always madvise [never] 위 방법으로 진행 시 부팅 후 다시 원복 된다. 부팅 후에도 적용되도록 설정 필요. /etc/default/grub 설정 파일 수정 - GRUB_CMDLINE_LINUX 값 끝부분에 transparent_hugepage=nev..
vswitch 리스트 및 설정 정보 확인 esxcli network vswitch standard listESXi netstat esxcli network ip connection list물리 Nic 리스트 및 정보 esxcli network nic listvswitch portgroup list esxcli network vswitch standard portgroup list 서버 & VLAN 정보 확인 esxcli network vm listvm list 간단하게 vim-cmd vmsvc/getallvmsvm list 자세하게 esxcli vm process listvmnic 상태 확인 esxcli network nic stats get -n vmnic7
사전 작업 - 도커 설치 도커 설치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sh-safer.tistory.com/13 [Docker] 도커 학습 - 1. 설치 및 정보 확인 docker 설치 하기 Centos7 환경에서 진행합니다~ curl 스크립트를 받아와서 sh로 실행합니다. curl -sSL http://get.docker.com | sh [root@linux-1 ~]# curl -sSL http://get.docker.com | sh # Executing docke.. sh-safer.tistory.com registry 설치 [root@test-1 ~]# docker pull registry registry 실행 registry 실행 -d : 백그라운드 실행 -p : 서버호스트포트 : docer 컨테이너 ..
인스턴스 선택한 상태에서 -> 인스턴스 상태 -> 인스턴스 중지 (주의. 인스턴스 종료를 선택하시면 서버가 삭제됩니다) 인스턴스 상태가 중지됨으로 확인 인스턴스 선택한 상태에서 -> 작업 -> 인스턴스 설정 -> 인스턴스 슈형 변경 클릭 원하는 성능(유형)을 선택 후 적용버튼 클릭 인스턴스 선택한 상태에서 -> 인스턴스 상태 -> 인스턴스 시작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